게임(Game)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놀이(Play)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놀이의 매력과 즐거움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매력적인 게임을 구상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거의 모든 게임의 핵심에는 놀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활동이 존재한다. 이러한 놀이 활동은 보통 핵심 규칙 아래에 존재하면서 핵심 규칙을 지탱하고 생명을 불어넣는다.
애니팡 게임에서, 놀이 활동이라 정의할 수 있는 것은, 같은 동물을 세 개씩 맞춰나간다는 게임 규칙으로 구성된 매칭 활동이다.
놀이는 게임뿐 아니라 우리의 주변 환경에서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활동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놀이는 구성이 완전하지 않다. 놀이에는 명시적인 규칙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친구들끼리 힘겨루기를 하면서 규칙을 작성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놀이를 반복하면서 혼선이 생길 때 놀이를 더 재미있게 즐기기 위한 알맞은 감각을 개발한다.
바로 여기가 게임이 끼어들 자리이다. 단순하게 공차기만 한다면 금방 지겨워질 수 있지만 골대라는 장치를 만들고 상대편 골대에 공을 더 많이 넣는 쪽이 이긴다는 규칙을 추가하면 놀이 활동은 갑자기 새로운 의미를 띠게 된다. 노력할 대상이 생기며, 자신을 시험할 대상이 생기는 것이다.
놀이 활동에는 놀이가 하나의 게임으로 전환되는 경계적 순간이 존재한다. 그 순간, 놀이는 불꽃같은 재미를 준다. 게임은 놀이를 오래도록 즐길 수 있게 기반을 제공한다. 이런 경계적 순간으로 사람들을 이끌어 가는 것이 게임 기획자의 임무이다.
게임 기획자는 놀이와 게임 간의 경계선을 걸어야 한다. 그러한 경계선을 효과적으로 넘나들려면, 반드시 놀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놀이는 얼핏 보기에는 체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심도 있게 살펴보면, 놀이에도 분명한 패턴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 놀이 연구소(The National Institute for Play)는 놀이를 주요 일곱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1. 마음 맞추기 놀이
이것은 아주 단순한 상호작용인데 상당히 중요한 두뇌 활동과 강력한 감정 교감을 이끌어낸다. 어떤 엄마가 아이와 눈을 맞춘다고 하자. 이때 아이가 웃으면, 엄마도 함께 웃어준다. 엄마가 웃어주는 것은 아이의 미소를 강화시키며 엄마와 아이는 감정적인 동조 상태에 이른다.
2. 몸을 통한 놀이와 움직임
우리는 우리의 몸을 통해 세상의 많은 부분을 이해한다. 아기가 자동차 운전을 배우듯이 팔을 휘두르는 것에서 아이들이 서로 눈 뭉치를 던지는 것까지 우리는 세상을 향해 움직이며 스스로 즐거워한다. 아울러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우리 몸의 한계까지도 탐구하게 된다.
3. 사물을 가지고 하는 놀이
우리가 하는 놀이의 많은 부분은 주변의 사물들에서 영감을 받는다. 우리는 물건과의 접촉을 통해 그 물건의 한계를 탐구해 간다. 사물을 가지고 하는 놀이를 하다 보면, 물건을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는 등의 학습 과정이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주기도 한다.
4. 사회적 놀이
사회적 놀이는 씨름에서부터, 당연하지 게임 같은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인간 행동의 전반적인 범위를 아우른다. 이러한 놀이는 사회화 및 문화적 기능이 확립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상상 놀이와 흉내 내기 놀이
소꿉놀이나 동물 흉내 내기 놀이가 아이들의 놀이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그런 놀이는 젊은 시절이나 나이가 들어서도 우리의 창의성에 놀랄만한 영향을 준다. 그뿐만 아니라 그런 놀이는 아이들이 세상에 대한 마음속의 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6. 이야기 만들기 놀이
우리는 우리의 인생과 시간을 캐릭터와 사건으로 구성된 이야기로서 구분한다. 인생을 이야기로 구성하는 것은 인생에 의미를 부여하며 인생의 무작위 한 사건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우리는 주로 놀이를 통해 그렇나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을 배운다. 우리는 이야기 속의 역할을 정하고, 이야기를 적당히 부풀린 다음, 다른 사람들에게 그 이야기를 해주려고 한다.
7. 변형-통합을 통한 창조적인 놀이
우리는 놀이의 새로운 가능성을 기대하며, 창의성을 끌어낼 수 있는 상상 놀이를 하곤 한다. 우리는 공으로 할 수 있는 모든 다른 놀이를 상상하기도 하고, 직접 시험해 보기도 한다. 때로, 놀이뿐 아니라 놀이 이외의 우리 생활에 이러한 아이디어를 적용하기도 한다.
게임은 놀이에서 비롯된다. 게임 기획자라면 다양한 방식의 놀이 활동을 관찰하면서 게임으로서의 놀이 활동의 잠재력을 파악해야만 한다. 놀이에 규칙과 목표를 집어넣다 보면 놀이를 게임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게임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마수트라] 고스트 오브 쓰시마 - 매력적인 퀘스트 디자인의 기술 (2) | 2020.12.26 |
---|---|
놀이의 활용 (0) | 2020.12.21 |
게임의 재미를 떨어뜨리는 요소 (0) | 2020.11.19 |
밸브, ‘하프라이프: 알릭스’를 수작으로 만든 기획 프로세스를 설명하다 (2) | 2020.10.12 |
게임 기획 시 필요한 '더미 사운드' 찾는 무료 사이트 정리 (0) | 2020.07.28 |
댓글